TASK #164
진행중마일스톤 #156: 2. 신청서/과제 별 목표 설정
2024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개발지원사업
0%
설명
---------- Forwarded message ---------
보낸사람: 박원규 wkpark@mv-w.com
Date: 2024년 1월 9일 (화) 오전 10:28
Subject: Fwd: [re-LIST] 한국데이터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개발지원사업 대상과제 공고 안내(~2/14)
To: manager_up
제안 참여 의견 주시길 바랍니다.
---------- Forwarded message ---------
보낸사람: 한국데이터기술진흥협회_조미선 hthkj.mj@gmail.com
Date: 2024년 1월 9일 (화) 오전 10:21
Subject: [re-LIST] 한국데이터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개발지원사업 대상과제 공고 안내(~2/14)
To: Misun Jo hthkj.mj@gmail.com
안녕하세요
한국데이터기술진흥협회입니다.
어느덧 2024년의 해가 밝았습니다.
지난 한해동안 정말 애많이쓰셨고, 올 한해도 원하시는 일 모두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2024년도에도 귀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올 해 새로운 지원사업을 안내드립니다.
[2024년도 제1차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개발지원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사업목적 : 민간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미래선도형 ICT 핵심 원천융합기술 개발 지원
ICT융합기반 신산업/신시장 개척을 위한 선제적 표준개발 및 우리 ICT기술의 국제표준 채택, 의장단 진출 등 글로벌 표준화 리더십 강화를 위한 국내외 표준화 활동 지원연구기간 : 1차년도/2024. 4 ~ 2024. 12 (9개월) / 과제별 연구개발기간은 상이할 수 있으며 평기기간 및 사업심의위원회 일정을 고려하여 연구개발기간 변동이 가능
지원규모 :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 지원) 총 126개사, 총 166,016백만원 /사업별 상이, 붙임파일 참조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사업 지원) 총 4개사, 총 3,450백만원 / 사업별 상이, 붙임파일 참조공고기간 : 2024. 1.5(금) ~ 2024. 2.14(수)
접수기간 : 2024. 1.23(화) ~ 2024. 2.14(수) 15시까지(KST)
접수방법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go.kr) 을 통한 신청 접수
문의처 : 연구개발계획서 전산등록 관련 문의 1877-2041(IRIS콜센터) *과제별 문의처는 [붙임1] 파일의 16-17p 참조
관심있는 회원사께서는 제출서류를 확인하시어 기한 내 접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사)한국데이터기술진흥협회 기업지원팀/팀장 조미선
(34037) 대전 유성구 갑천로 361-17, 윕스퀘어 205호(탑립동)
Tel. 042 368 9725 Mobile. 010 3944 9613
Mail. hthkj.mj@gmail.com
정중은이(가) 약 2년 전에 변경
---------- Forwarded message ---------
보낸사람: 정중은 jejung@mv-w.com
Date: 2024년 1월 13일 (토) 오전 10:26
Subject: Re: [re-LIST] 한국데이터기술진흥협회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개발지원사업 대상과제 공고 안내(~2/14)
To: Kim, Min-Hyun 김민현 mhkim@mv-w.com
Cc: 박원규 wkpark@mv-w.com, manager_up
안녕하세요, 정중은입니다!
저도 대표님께서 말씀해주신 것과 같은 아이디어로 동의합니다.
- 연구는 접근이 바로 가능한 상용 내비게이션 앱으로부터 시작하되,
- 차량 제조사 내비는 현 단계에서 바로 정보 접근이 어려울 것 같고 향후 확장 가능성을 향후 연구로 제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전에 제가 T맵 서비스를 시놀로지 잡담 챗에 공유한 내용과, 대표님께서 CES 기간동안 공유해주신 바 기상청에서도,
이와 같은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뉴스에 나왔기 때문에,
(두 차례 뉴스로 공유되었다는 점 자체는, 우리 사업방향이 사회의 니즈에 따라 우리가 움직이고 있다는 청신호로 보입니다.)
시장 조사단계에서 '종래'의 시스템을 이 2건으로 상정하고, 위 2건과 비교, 우리는 어떤 차별성과 개선을 두고 개발할 것이라는 내용을
[연구배경, 필요성] 챕터에 어필한다면 승률이 더 높아질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한 시장조사, 경쟁 서비스 분석/리서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중은 드림.
2024년 1월 13일 (토) 오전 4:24, Kim, Min-Hyun 김민현 mhkim@mv-w.com님이 작성:
사업비가 상당히 크군요.
앞차가 뒷차에게 다이렉트(V2V)로 주는 것은 모든 차에 저희 시스템이 깔려야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것보단 우리 센서 시스템(모델1,2)의 정보를 클라우드에 올리고,
제너럴 하게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인 네비게이션 앱(차량 제조사 네비 포함)을 통한 정보제공이 가능성 높아 보이므로 그렇게 말씀드린듯 하네요 ㅎㅎ
어떤 사업으로 진행하는것이 fit도 맞고 승률도 좋을까요?
김민현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