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일반

사용자정보

Actions

TASK #50

완료됨

마일스톤 #40: 1. 배포된 AI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휴리스틱 AI 논리 테이블 개선

정중은이(가) 약 2년 전에 추가함. 약 2년 전에 수정됨.

상태:
완료
우선순위:
보통
담당자:
시작시간:
2024-01-05
완료기한:
2024-01-12
진척도:

100%


설명

< 배경 >

  1. 2023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기준 4개 노면 상태 클래스 (dry, humid, wet, iced) 가 2023년 12월 설치/운영 중인 휴리스틱 AI 알고리즘 클래스 (dry, wet, slush) 와 불일치
  2. 그래서, 휴리스틱 AI 알고리즘 운영 중 dry <-> wet 상태 전환 시 미끄럼도가 갑자기 크게 변화는 부자연스러움 발견됨

< 목표 >

  1. 4개 노면 상태 클래스 (dry, humid, wet, iced) 반영한 휴리스틱 미끄럼도 산출 테이블 작성  - (향후) 실제 운영 중인 서비스에 개선된 논리 테이블 적용
Actions #1

권현준이(가) 약 2년 전에 변경

  • 상태을(를) 대기에서 진행(으)로 변경되었습니다.
Actions #2

권현준이(가) 약 2년 전에 변경

  • 진척도을(를) 0에서 100(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휴리스틱 AI 논리 테이블 개선 초안 작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저장 경로: Z:\DEV_AI\AI 상용화 및 ML Ops (인프라)\20240112초안\휴리스틱 논리 테이블 2024.xlsx

Actions #3

권현준이(가) 약 2년 전에 변경

  • 상태을(를) 진행에서 완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Actions #4

정중은이(가) 약 2년 전에 변경

이 테이블 논리대로 구현해봅시다.

공유해주신 엑셀 파일의 H 열에, [상황] 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각 행이 어떤 상황인지 설명 글을 기재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행을 예로 들면, H열에 A-E 열 내용을 말로 풀어 쓰는 것 입니다.
"1시간 전에도 결빙(slush)이였고, 현재도 결빙(slush)으로 검출되고 있으며, 현재 온도는 영하인데 미래 온도도 영하로 현재보다 더 하락세"

이 테이블에 의하면,
모바휠은 상기의 상태를 미끄럼도가 가장 높은 상태로 정의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후 전체 공유 드리면, 경영 관점에서 정책적으로 어떤 판단이 맞는지
이를테면 예를 들면
2번째 행과 3번째 행이 같은 미끄럼도로 표기하는 게 맞는지,
또는 4번째 행이 2번째 행 보다 더 높은 미끄럼도를 가져야 하는게 아닌지/맞는지

등을 함께 검토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 '23.01.21 정중은
Actions

내보내기 Atom PDF